진로 진학정보센터
2026 수능부터 달라집니다. 여러분, 정말 중요한 변화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에 적용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정보,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이 글을 끝까지 읽으면 여러분의 학습 전략이 달라질지도 모릅니다.
2026학년도 수능, 어떤 점이 달라지나요?
2026학년도 수능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제됩니다.
이는 모든 시험 과목이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해 구성되며, 공교육 내 범위에서 적정 난이도의 문항이 출제되는 방향입니다.
한국사, 전 수험생 필수 응시
한국사 영역은 여전히 필수 과목으로 모든 수험생이 반드시 응시해야 합니다.
절대평가 방식으로 평가되며, 수능 전체 성적과 별도로 확인됩니다.
공통+선택형 구조 유지
국어와 수학은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으로 구분되어 시험이 치러집니다.
이 구조는 2015 수능부터 도입된 방식으로, 2026 수능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절대평가 영역 유지
영어,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절대평가로 시행됩니다.
등급에 따라 점수가 부여되므로 상대평가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사회/과학/직업탐구 영역 선택 기준
탐구 영역은 사회 9과목, 과학 8과목 중 최대 2과목 선택 가능합니다.
직업탐구의 경우 5개 과목 중 2개 선택이 가능하나, 2과목 모두 응시 시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필수로 포함해야 합니다.
출제 형식은 그대로, 전략은 달라진다
출제 과목 수, 문항 수, 시험 순서, EBS 연계율 등은 2025학년도 수능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하지만 출제 방향은 공교육 중심으로 강화되며, 사고력 중심 문제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Q&A
Q1. 2026 수능은 어떤 과목이 절대평가인가요?
A1. 영어,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절대평가로 시행됩니다.
Q2. 한국사는 선택 가능한가요?
A2. 아니요, 한국사는 모든 수험생이 필수로 응시해야 하는 과목입니다.
Q3. 직업탐구 선택 시 유의사항은?
A3. 2과목 선택 시 반드시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포함해야 하며, 총 5개 과목 중 선택 가능합니다.
Q4. EBS 연계율은 얼마나 유지되나요?
A4.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되며, 2025 수능과 같은 방식으로 연계됩니다.
Q5.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의 비중은 어떻게 되나요?
A5. 과목마다 차이가 있지만, 공통과목 75%, 선택과목 25% 또는 50:50 등 비율은 과목별로 상이합니다.
최종 점검 체크리스트
✅ 2026 수능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여부 확인
✅ 국어/수학의 공통+선택 과목 구조 숙지
✅ 절대평가 과목과 상대평가 과목 구분
✅ 탐구영역 선택 과목별 조건 정리
✅ 한국사 필수 응시 확인
✅ 출제 범위 및 난이도 방향에 맞춘 학습 전략 수립
📌2026학년도 수능 특징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절대평가 과목, 탐구 선택 기준, EBS 연계율까지 전략적으로 준비해보세요.